유무선 공유기가 있다면 누구나 쉽게 집에서 와이파이가 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노트북에 있는 무선 랜카드를 이용해서도 그러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별다른 프로그램 없이 간단한 명령어 입력으로 누구나 할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한번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노트북이 켜져있어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2. 노트북이 유선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설정하는 방법]
1. 먼저 노트북에 랜선을 연결해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들어준 후, 윈도우를 실행 해줍니다.
2.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합니다.
- 검색창에 CMD 입력 -> 마우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윈도우 8.1 이상은 윈도우키 + X -> 해당메뉴 찾아 클릭
3. 와이파이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무선 와이파이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잘 입력하셨다면 위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면서 네트워크가 만들어 집니다.
1) 이름과 비밀번호를 지정해 주는 명령어 입니다. 한번만 입력해주면 됩니다. ssid는 이름 key는 비밀번호 입니다. 비밀번호의 경우 8자리 이상을 입력해 주세요.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_____ key=_____
2) 네트워크 환경을 실행 시켜주는 명령어 입니다.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스마트폰을 통해 와이파이를 검색해보면 내가 만든 와이파이가 검색 될 것입니다. 하지만 사용이 안됩니다. 아직 공유 설정을 해주지 않아서 이러한 상황이니 조금만 더 따라와주시면 됩니다.
4.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실행합니다. 보시면 test라는 이름의 제가 만든 네트워크가 하나더 추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냥 확인만 하시고 왼편에 있는 메뉴 중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5. <어탭터 설정 변경>을 클릭하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로컬 영역 연결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속성을 실행해 줍니다.
※ 로컬 영역 연결이란 유선 랜카드에 랜선을 꽂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 자신이 만든 무선 네트워크에 숫자 몇이 달려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노트북이기 때문에 분명 이미 만들어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몇개 더 있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무선 네티워크 연결 2입니다.
6. 이제 공유탭으로 가서 홈 네트워킹 연결부분에 자신이 만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선택해 줍니다. 저는 test라는 무선 네트워크를 만들었고 해당 네트워크는 연결2로 되어 있어 무선 네트워크 연결 2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위아래 항목에 체크를 해주시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끝났습니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와이파이에 접속을 하면 이제 인터넷 이용이 가능 할 것입니다.
이 후 노트북을 다시 켰을때 와이파이가 되지 않는다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명령어만 다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도움될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취를 빠르게 해소하는 9가지 방법 (0) | 2015.12.17 |
---|---|
영상 좌우 반전해서 보는 방법 (0) | 2015.12.11 |
윈도우7, 윈도우 10 익스플로러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0) | 2015.12.09 |
카카오톡 PC 버전 로그인 실패 방화벽 예외 설정하기 (0) | 2015.12.08 |
휴대폰으로 컴퓨터 연결하는 방법 (0) | 2015.12.07 |